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p56

(Python/🥇5)백준알고리즘 2096번: 내려가기 문제 바로가기 문제: N줄에 0 이상 9 이하의 숫자가 세 개씩 적혀 있다. 내려가기 게임을 하고 있는데, 이 게임은 첫 줄에서 시작해서 마지막 줄에서 끝나게 되는 놀이이다. 먼저 처음에 적혀 있는 세 개의 숫자 중에서 하나를 골라서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다음 줄로 내려가는데, 다음 줄로 내려갈 때에는 다음과 같은 제약 조건이 있다. 바로 아래의 수로 넘어가거나, 아니면 바로 아래의 수와 붙어 있는 수로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제약 조건을 그림으로 나타내어 보면 다음과 같다. 별표는 현재 위치이고, 그 아랫 줄의 파란 동그라미는 원룡이가 다음 줄로 내려갈 수 있는 위치이며, 빨간 가위표는 원룡이가 내려갈 수 없는 위치가 된다. 숫자표가 주어져 있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점수, 최소 점수를 .. 2024. 4. 8.
(Python/🥇4)백준알고리즘 20159번: 동작 그만. 밑장 빼기냐 ? 문제 바로가기 문제: 싸늘하다. 정훈이는 다음과 같은 도박을 하고 있다. N개의 카드와 2명의 플레이어가 있다. 플레이어가 자신과 상대방에게 번갈아 가며 카드의 윗장부터 한 장씩 분배한다. 단, 카드는 분배한 사람부터 받는다. 카드를 모두 분배했을 때 카드에 적힌 수의 합이 더 큰 사람이 이긴다. 두 명이 공평하게 카드를 나눠 갖기 위해 카드의 개수는 짝수로 주어진다. 카드를 섞고 있는 정훈이는 타짜다. 수없이 많이 카드를 섞어본 경험으로 섞고 난 후 카드의 값들을 다 알고 있다. 정훈이에게 카드를 분배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 확실한 승리를 위해 카드를 분배할 때 카드의 윗장이 아닌 밑장을 빼는 밑장 빼기를 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상대는 눈치가 빠르기로 유명한 선수이므로 밑장 빼기는 최대 한번 할 것이.. 2024. 1. 12.
(Python/🥈1)백준리즘알고리즘 1446번: 지름길 문제 바로가기 문제: 매일 아침, 세준이는 학교에 가기 위해서 차를 타고 D킬로미터 길이의 고속도로를 지난다. 이 고속도로는 심각하게 커브가 많아서 정말 운전하기도 힘들다. 어느 날, 세준이는 이 고속도로에 지름길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모든 지름길은 일방통행이고, 고속도로를 역주행할 수는 없다. 세준이가 운전해야 하는 거리의 최솟값을 출력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지름길의 개수 N과 고속도로의 길이 D가 주어진다. N은 12 이하인 양의 정수이고, D는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다음 N개의 줄에 지름길의 시작 위치, 도착 위치, 지름길의 길이가 주어진다. 모든 위치와 길이는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다. 지름길의 시작 위치는 도착 위치보다 작다. 출력: 세준.. 2023. 12. 15.
(Python/🥇3)백준알고리즘 1823번 : 수확 문제 바로가기 문제: 1 × N 크기의 긴 밭에 벼가 심어져 있다. 준희는 이 벼를 수확 하려고 한다. 그런데 가운데 있는 벼를 수확을 하려면 끝에서 가운데까지 헤집고 들어가야 하므로 양 끝에 있는 벼만 수확을 할 수 있다. 처음에는 첫 번째와 N번째 벼를 수확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만약에 첫 번째 벼를 수확을 하였다면 두 번째 벼와 N번째 벼를 수확을 할 수 있다. 수확을 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은 다음과 같다. 만약에 그 벼의 가치가 v(i)라고 하고 그 벼를 k번째로 수확을 한다고 하면 v(i) × k 만큼의 이익을 얻게 된다. 만약에 벼의 가치가 차례로 1 3 1 5 2 라고 하고 첫 번째, 다섯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의 순서대로 수확을 한다고 하면 1×1 + 2×2 + 3×3.. 2023. 12. 9.
(Python/🥈1)백준 알고리즘 12852번: 1로 만들기 2 문제 바로가기 문제: 정수 X에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이다. X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면, 3으로 나눈다. X가 2로 나누어 떨어지면, 2로 나눈다. 1을 뺀다.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위와 같은 연산 세 개를 적절히 사용해서 1을 만들려고 한다. 연산을 사용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106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연산을 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N을 1로 만드는 방법에 포함되어 있는 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순서대로 출력한다. 정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 시간초과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sys.stdin =.. 2023. 12. 6.
(Python/🥈2)백준 알고리즘 11055번: 가장 큰 증가하는 부분 수열 문제 바로가기 문제: 수열 A가 주어졌을 때, 그 수열의 증가하는 부분 수열 중에서 합이 가장 큰 것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수열 A = {1, 100, 2, 50, 60, 3, 5, 6, 7, 8} 인 경우에 합이 가장 큰 증가하는 부분 수열은 A = {1, 100, 2, 50, 60, 3, 5, 6, 7, 8} 이고, 합은 113이다. 입력: 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 (1 ≤ N ≤ 1,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수열 A를 이루고 있는 Ai가 주어진다. (1 ≤ Ai ≤ 1,000) 출력: 첫째 줄에 수열 A의 합이 가장 큰 증가하는 부분 수열의 합을 출력한다. 풀이: import sys n = int(input()) lst = list(map(int,input()... 2023. 1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