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백준알고리즘/스택20

(Python/🥈4)백준 알고리즘 28278번: 스택 2 문제 바로가기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1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다. (1 ≤ X ≤ 100,000) 2: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빼고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3: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4: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5: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명령의 수 N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둘째 줄부터 N개 줄에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은 하나 이상 주어진다. 출력: 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명령의 결과.. 2023. 12. 25.
(Python/🥈4)백준 알고리즘 3986번: 좋은 단어 문제 바로가기 문제: 이번 계절학기에 심리학 개론을 수강 중인 평석이는 오늘 자정까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보고서 작성이 너무 지루했던 평석이는 노트북에 엎드려서 꾸벅꾸벅 졸다가 제출 마감 1시간 전에 깨고 말았다. 안타깝게도 자는 동안 키보드가 잘못 눌려서 보고서의 모든 글자가 A와 B로 바뀌어 버렸다! 그래서 평석이는 보고서 작성을 때려치우고 보고서에서 '좋은 단어'나 세보기로 마음 먹었다. 평석이는 단어 위로 아치형 곡선을 그어 같은 글자끼리(A는 A끼리, B는 B끼리) 쌍을 짓기로 하였다. 만약 선끼리 교차하지 않으면서 각 글자를 정확히 한 개의 다른 위치에 있는 같은 글자와 짝 지을수 있다면, 그 단어는 '좋은 단어'이다. 평석이가 '좋은 단어' 개수를 세는 것을 도와주자. 입력: 첫째 줄에.. 2023. 9. 17.
(Python/플5)백준알고리즘 3015번: 오아시스 재결합 문제 바로가기 문제: 오아시스의 재결합 공연에 N명이 한 줄로 서서 기다리고 있다. 이 역사적인 순간을 맞이하기 위해 줄에서서 기다리고 있던 백준이는 갑자기 자기가 볼 수 있는 사람의 수가 궁금해 졌다. 두 사람 A와 B가 서로 볼 수 있으려면, 두 사람 사이에 A 또는 B보다 키가 큰 사람이 없어야 한다. 줄에 서있는 사람의 키가 주어졌을 때, 서로 볼 수 있는 쌍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줄에서 기다리고 있는 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 (1 ≤ N ≤ 50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각 사람의 키가 나노미터 단위로 주어진다. 모든 사람의 키는 231 나노미터 보다 작다. 사람들이 서 있는 순서대로 입력이 주어진다. 출력: 서로 볼 수 있는 쌍의 수를 출력한다... 2023. 8. 27.
(Python/🥈2)백준 알고리즘 17413번: 단어 뒤집기2 문제 바로가기 문제: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이 문자열에서 단어만 뒤집으려고 한다. 먼저, 문자열 S는 아래와과 같은 규칙을 지킨다. 알파벳 소문자('a'-'z'), 숫자('0'-'9'), 공백(' '), 특수 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문자열의 시작과 끝은 공백이 아니다. ''가 문자열에 있는 경우 번갈아가면서 등장하며, ' 2023. 8. 25.
(Python/🥈3)백준알고리즘2346번 : 풍선 터뜨리기 문제 바로가기 문제: 1번부터 N번까지 N개의 풍선이 원형으로 놓여 있고. i번 풍선의 오른쪽에는 i+1번 풍선이 있고, 왼쪽에는 i-1번 풍선이 있다. 단, 1번 풍선의 왼쪽에 N번 풍선이 있고, N번 풍선의 오른쪽에 1번 풍선이 있다. 각 풍선 안에는 종이가 하나 들어있고, 종이에는 -N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하나 적혀있다. 이 풍선들을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터뜨린다. 우선, 제일 처음에는 1번 풍선을 터뜨린다. 다음에는 풍선 안에 있는 종이를 꺼내어 그 종이에 적혀있는 값만큼 이동하여 다음 풍선을 터뜨린다. 양수가 적혀 있을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음수가 적혀 있을 때는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동할 때에는 이미 터진 풍선은 빼고 이동한다. 예를 들어 다섯 개의 풍선 안에 차례로 .. 2023. 8. 5.
(Python/🥈3)백준알고리즘12789번: 도키도키 간식드리미 문제 바로가기 문제: 인하대학교 학생회에서는 중간, 기말고사 때마다 시험 공부에 지친 학우들을 위해 간식을 나눠주는 간식 드리미 행사를 실시한다. 승환이는 시험 기간이 될 때마다 간식을 받을 생각에 두근두근 설레서 시험 공부에 집중을 못 한다. 이번 중간고사에서도 역시 승환이는 설레는 가슴을 안고 간식을 받기 위해 미리 공지된 장소에 시간 맞춰 도착했다. 그런데 이게 무슨 날벼락인가! 그 곳에는 이미 모든 학생들이 모여있었고, 승환이는 마지막 번호표를 받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몇몇 양심에 털이 난 학생들이 새치기를 거듭한 끝에 대기열의 순서마저 엉망이 되고 말았다. 간식을 나눠주고 있던 인규는 학우들의 터져 나오는 불만에 번호표 순서로만 간식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제야 학생들이 순서대로 줄을 서려.. 2023. 8.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