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백준알고리즘/정렬20

(Python/🥇2)백준알고리즘 1377 번: 버블 소트 문제 바로가기 문제:버블 소트 알고리즘을 다음과 같이 C++로 작성했다.입력:위 소스에서 N은 배열의 크기이고, A는 정렬해야 하는 배열이다. 배열은 A[1]부터 사용한다. 위와 같은 소스를 실행시켰을 때, 어떤 값이 출력되는지 구해보자. 출력: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5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A[1]부터 A[N]까지 하나씩 주어진다. A에 들어있는 수는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풀이 : 풀이를 보면 swap 이 몇번 일어나는지 이다. 위에 코드의 결과는 버블소트 몇번째 턴에 정렬이 다 되는지 확인하는 문제이다.10,1,5,2,3 를 정렬한다면 10,1,5,2,3 1,5,2,3,10 1,2,3,5,10  이렇게 3번이다.  .. 2024. 8. 2.
(Python/🥈3)백준리즘알고즘 1431번 : 시리얼 번호 문제 바로가기 문제:다솜이는 기타를 많이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기타는 모두 다른 시리얼 번호를 가지고 있다. 다솜이는 기타를 빨리 찾아서 빨리 사람들에게 연주해주기 위해서 기타를 시리얼 번호 순서대로 정렬하고자 한다. 모든 시리얼 번호는 알파벳 대문자 (A-Z)와 숫자 (0-9)로 이루어져 있다. 시리얼번호 A가 시리얼번호 B의 앞에 오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A와 B의 길이가 다르면, 짧은 것이 먼저 온다.만약 서로 길이가 같다면, A의 모든 자리수의 합과 B의 모든 자리수의 합을 비교해서 작은 합을 가지는 것이 먼저온다. (숫자인 것만 더한다) 만약 1,2번 둘 조건으로도 비교할 수 없으면, 사전순으로 비교한다.숫자가 알파벳보다 사전순으로 작다. 시리얼이 주어졌을 때, 정렬해서 출력하는 프로그.. 2024. 7. 22.
(Python/🥈5)백준알고리즘 16435번: 스네이크버드 문제 바로가기 문제: 스네이크버드는 뱀과 새의 모습을 닮은 귀여운 생물체입니다. 스네이크버드의 주요 먹이는 과일이며 과일 하나를 먹으면 길이가 1만큼 늘어납니다. 과일들은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두고 떨어져 있으며 i (1 ≤ i ≤ N) 번째 과일의 높이는 hi입니다. 스네이크버드는 자신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높이에 있는 과일들을 먹을 수 있습니다. 스네이크버드의 처음 길이가 L일때 과일들을 먹어 늘릴 수 있는 최대 길이를 구하세요. 입력: 첫 번째 줄에 과일의 개수 N (1 ≤ N ≤ 1,000) 과 스네이크버드의 초기 길이 정수 L (1 ≤ L ≤ 10,000) 이 주어집니다. 두 번째 줄에는 정수 h1, h2, ..., hN (1 ≤ hi ≤ 10,000) 이 주어집니다. 출력: 첫 번째 줄에.. 2024. 2. 27.
(Python/🥈4)백준리즘알고리즘 15970번 : 화살표 그리기 문제 바로가기 문제: 직선 위에 위치를 나타내는 0, 1, 2, ...와 같은 음수가 아닌 정수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놓여 있다. 이러한 위치들 중 N개의 위치에 하나씩 점들이 주어진다(). 주어진 점들의 위치는 모두 다르다. 두 점 사이의 거리는 두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수들의 차이이다. 에서는 4개의 점이 주어지고 점 a와 b의 거리는 3이다. 각 점은 N개의 색깔 중 하나를 가진다. 편의상, 색깔은 1부터 N까지의 수로 표시한다. 각 점 p에 대해서, p에서 시작하는 직선 화살표를 이용해서 다른 점 q에 연결하려고 한다. 여기서, 점 q는 p와 같은 색깔의 점들 중 p와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점이어야 한다. 만약 가장 가까운 점이 두 개 이상이면 아무거나 하나를 선택한다. 모든 점에 대.. 2024. 2. 4.
(Python/🥈4)백준 알고리즘 1015번 : 수열정렬 문제 바로가기 문제: P[0], P[1], ...., P[N-1]은 0부터 N-1까지(포함)의 수를 한 번씩 포함하고 있는 수열이다. 수열 P를 길이가 N인 배열 A에 적용하면 길이가 N인 배열 B가 된다. 적용하는 방법은 B[P[i]] = A[i]이다. 배열 A가 주어졌을 때, 수열 P를 적용한 결과가 비내림차순이 되는 수열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비내림차순이란, 각각의 원소가 바로 앞에 있는 원소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를 말한다. 만약 그러한 수열이 여러개라면 사전순으로 앞서는 것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배열 A의 크기 N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배열 A의 원소가 0번부터 차례대로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배열의 원소는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 2023. 11. 14.
(Python/🥈5)백준 알고리즘 10867번: 중복 빼고 정렬하기 문제 바로가기 문제: N개의 정수가 주어진다. 이때, N개의 정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같은 정수는 한 번만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에는 숫자가 주어진다. 이 수는 절댓값이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같은 수는 한 번만 출력한다. 풀이: import sys sys.stdin = open('/Users/song/Desktop/Python/Python/h.txt', 'r') N =int(sys.stdin.readline()) arr =list(map(int,sys.stdin.readline().rstrip().split(" "))) pri.. 2023.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