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포인터12

(Python/🥇4)백준알고리즘 22945번: 팀 빌딩 문제 바로가기 문제: 개발자 N명이 팀 빌딩을 위해 한 줄로 서있다. 하나의 팀을 만들기 위해서는 개발자 2명이 반드시 모여야 한다. 개발자 A와 개발자 B가 팀을 만들 때 팀의 능력치는 아래와 같이 계산이 된다. (개발자 A와 개발자 B 사이에 존재하는 다른 개발자 수) × min(개발자 A의 능력치, 개발자 B의 능력치) 예를 들어, 4명의 개발자가 존재할 때, 각 개발자의 능력치를 1 4 2 5라고 하자. 이때 능력치가 1인 개발자와 능력치가 5인 개발자가 한 팀을 이뤘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이 팀의 능력치는 2×min(1, 5) = 2가 된다. 팀 빌딩에서 나올 수 있는 팀 중 능력치의 최대값을 구해보자. 입력: 첫 번째 줄에 개발자의 수 N이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는 N의 개발자의 각 능력치 .. 2023. 10. 29.
(Python/🥈1)백준알고리즘2531번: 회전초밥 문제 바로가기 문제: 회전 초밥 음식점에는 회전하는 벨트 위에 여러 가지 종류의 초밥이 접시에 담겨 놓여 있고, 손님은 이 중에서 자기가 좋아하는 초밥을 골라서 먹는다. 초밥의 종류를 번호로 표현할 때, 다음 그림은 회전 초밥 음식점의 벨트 상태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벨트 위에는 같은 종류의 초밥이 둘 이상 있을 수 있다. 새로 문을 연 회전 초밥 음식점이 불경기로 영업이 어려워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행사를 통해서 매상을 올리고자 한다. 원래 회전 초밥은 손님이 마음대로 초밥을 고르고, 먹은 초밥만큼 식대를 계산하지만, 벨트의 임의의 한 위치부터 k개의 접시를 연속해서 먹을 경우 할인된 정액 가격으로 제공한다. 각 고객에게 초밥의 종류 하나가 쓰인 쿠폰을 발행하고, 1번 행사에 참가할 경우 이 쿠폰.. 2023. 10. 15.
(Python/🥈2)백준리즘알고 22857번: 가장 긴 짝수 연속한 부분 수열 문제 바로가기 문제: 길이가 N인 수열 S가 있다. 수열 S는 1 이상인 정수로 이루어져 있다. 수열 S에서 원하는 위치에 있는 수를 골라 최대 K번 삭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열 S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수열 S : 1 2 3 4 5 6 7 8 수열 S에서 4번째에 있는 4를 지운다고 하면 아래와 같다. 수열 S : 1 2 3 5 6 7 8 수열 S에서 최대 K번 원소를 삭제한 수열에서 짝수로 이루어져 있는 연속한 부분 수열 중 가장 긴 길이를 구해보자. 입력: 수열 S의 길이 N와 삭제할 수 있는 최대 횟수인 K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는 수열 S를 구성하고 있는 N개의 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출력: 수열 S에서 최대 K번 원소를 삭제한 수열.. 2023. 9. 21.
(Python/🥈2)백준리즘알고 20922번: 겹치는 건 싫어 문제 바로가기 문제: 홍대병에 걸린 도현이는 겹치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특히 수열에서 같은 원소가 여러 개 들어 있는 수열을 싫어한다. 도현이를 위해 같은 원소가 $K$개 이하로 들어 있는 최장 연속 부분 수열의 길이를 구하려고 한다. 100,000 이하의 양의 정수로 이루어진 길이가 N인 수열이 주어진다. 이 수열에서 같은 정수를 K개 이하로 포함한 최장 연속 부분 수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 ( 1 2023. 7. 12.
(Python/🥇3)백준알고리즘 1644번: 소수의 연속합 문제 바로가기 문제: 하나 이상의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연수들이 있다. 몇 가지 자연수의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3 : 3 (한 가지) 41 : 2+3+5+7+11+13 = 11+13+17 = 41 (세 가지) 53 : 5+7+11+13+17 = 53 (두 가지) 하지만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자연수들도 있는데, 20이 그 예이다. 7+13을 계산하면 20이 되기는 하나 7과 13이 연속이 아니기에 적합한 표현이 아니다. 또한 한 소수는 반드시 한 번만 덧셈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3+5+5+7과 같은 표현도 적합하지 않다. 자연수가 주어졌을 때, 이 자연수를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 2023. 7. 1.
(Python/🥈4)백준 알고리즘 1463번: 1로 만들기 문제 바로가기 문제: 수 N개가 주어졌을 때, i번째 수부터 j번째 수까지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과 합을 구해야 하는 횟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N개의 수가 주어진다. 수는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합을 구해야 하는 구간 i와 j가 주어진다. 출력: 총 M개의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i번째 수부터 j번째 수까지 합을 출력한다. import sys sys.stdin = open('/Users/song/Desktop/Python/Python/h.txt', 'r') N, K = map(int,input().split(" ")) lst = list(map(int,(sys.stdin.readline().split(" ")).. 2023. 6.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