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누적합3

(Python/🥇3)백준알고리즘 2143 번 : 두 배열의 합 문제 바로가기 문제:한 배열 A[1], A[2], …, A[n]에 대해서, 부 배열은 A[i], A[i+1], …, A[j-1], A[j] (단, 1 ≤ i ≤ j ≤ n)을 말한다. 이러한 부 배열의 합은 A[i]+…+A[j]를 의미한다. 각 원소가 정수인 두 배열 A[1], …, A[n]과 B[1], …, B[m]이 주어졌을 때, A의 부 배열의 합에 B의 부 배열의 합을 더해서 T가 되는 모든 부 배열 쌍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예를 들어 A = {1, 3, 1, 2}, B = {1, 3, 2}, T=5인 경우, 부 배열 쌍의 개수는 다음의 7가지 경우가 있다. 입력:첫째 줄에 T(-1,000,000,000 ≤ T ≤ 1,000,000,000)가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1 ≤ n.. 2025. 4. 24.
(Python/🥇5)백준알고리즘 25682번 : 체스판 다시 칠하기 2 문제 바로가기  문제:지민이는 자신의 저택에서 MN개의 단위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는 M×N 크기의 보드를 찾았다. 어떤 정사각형은 검은색으로 칠해져 있고, 나머지는 흰색으로 칠해져 있다. 지민이는 이 보드를 잘라서 K×K 크기의 체스판으로 만들려고 한다. 체스판은 검은색과 흰색이 번갈아서 칠해져 있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각 칸이 검은색과 흰색 중 하나로 색칠되어 있고, 변을 공유하는 두 개의 사각형은 다른 색으로 칠해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정의를 따르면 체스판을 색칠하는 경우는 두 가지뿐이다. 하나는 맨 왼쪽 위 칸이 흰색인 경우, 하나는 검은색인 경우이다. 보드가 체스판처럼 칠해져 있다는 보장이 없어서, 지민이는 K×K 크기의 체스판으로 잘라낸 후에 몇 개의 정사각형을 다시 칠해야겠다고 생각.. 2024. 7. 26.
(Python/🥈2)백준알고리즘17128번: 소가 정보섬에 올라온 이유 문제 바로가기 문제: 소 $N$마리가 정보섬에 올라왔다! 소들은 정보섬 1층 앞마당에서 A_1, A_2, A_3, \dots, A_N, A_1의 순서대로 동그랗게 앉아 쉬고 있다. 각 소들에게는 품질 점수 A_i가 적힌 스티커가 붙어 있다. 욱제는 소 떼 옆에서 효빈이가 계산해 둔 어떤 계산 식을 발견했는데, 그것은 아래와 같다. S = \sum_{i=1}^N(A_{i}×A_{i+1}×A_{i+2}×A_{i+3}) (단, A_{N+1}=A_{1}, A_{N+2}=A_{2}, A_{N+3}=A_{3}) 풀어 쓰자면, 원형으로 둘러 앉은 소들에 대해서, 연속한 네 마리 소들의 품질 점수를 곱한 값을 모두 더한 것이다. 욱제는 효빈이가 학교를 떠나지 못하도록 심술부릴 작정이다. 욱제는 총 Q번에 걸쳐 어떤 i.. 2023. 10.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