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DD8

[Spring] TDD 도입기(2) feat) Service 계층 이번에는 Servie 계층을 구현하려고 합니다. 우리 화면에서 이메일과, Role 을 헤더 부분에 보여주려고 합니다.앞에서 레포지토리 계층을 개발했던 것처럼 이번에도 서비스 계층에 대한 테스트 클래스부터 작성해 주면 됩니다.. 서비스 테스트 만들기 맥북 기준 cmd + shift + t 입니다. 근데 원래는 서비스 클래스를 만드는것보다 서비스 테스트코드를 먼저 짜야하기 때문에 순서가 바뀌었지만.클래스명만 만들고 만드는것도 나쁘지 않은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폴더 위치까지 다 알아서 만들어 주기 때문이죠 서비스 계층은 데이터 베이스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Repo 계층을 모킹하기 위해 MockitoExtension 에서 실행 되도록 합니달. Mockito 도 테스팅 프로임 워크이기 떄문에 JUnit 과 결합되.. 2024. 12. 22.
[Spring] TDD 도입기(1) feat) Repo Layer 이번에 그로우 업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같이 프로젝트를 하는 친구와 TDD를 도입 해보도록 하였습니다. TDD 는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고 합니다. 반복 테스트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방법론으로 작은 단위의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는 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구현합니다. 실패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까지 실제 코드를 작성하지 않는 것과, 실패하는 테스트를 통과할 정도의 최소 실제 코드를 작성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실제 코드에 대해 기대되는 바를 보다 명확하게 정의함으로써 불필요한 설계를 피할 수 있고, 정확한 요구사항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TDD 의 효과로 디버깅 시간을 단축하고, 작성한 코드가 가지는 불안정성을 개선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보통 테스트를 위해 JUni.. 2024. 1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