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료구조13 (Python/🥇5)백준알고리즘11265번: 끝나지 않은 파티 문제 바로가기 문제: 파티를 좋아하는 민호는 끝없이 파티가 열리는 놀이동산 "민호월드"를 세웠다. 처음에는 한개의 파티장만을 가지고 있는 작은 놀이동산이었지만, 사람들의 점점 많이 찾아와 파티장을 증축했고 현재는 N개의 파티장을 가진 큰 놀이동산이 되었다. 민호는 파티장을 증축할때마다 편의를 위해 새로운 파티장과 기존의 모든 파티장이 직접적으로 연결이 될 수 있는 도로들을 만들었다. 이때 만들어진 도로들은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일방통행으로 설계가 되었다. 파티장이 적을때는 괜찮았지만 파티장이 많아진 지금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이 발생했다. A 파티장에서 B 파티장으로 빨리 갈 수 있도록 직접 연결이 된 일방통행 도로를 만들었지만 A와 B가 아닌 다른 파티장을 경유해서 더 빨리 갈 수 있는 경우가 .. 2023. 9. 14. (Python/🥇2)백준알고리즘 11780번: 플로이드2 문제 바로가기 문제: n(1 ≤ n ≤ 100)개의 도시가 있다. 그리고 한 도시에서 출발하여 다른 도시에 도착하는 m(1 ≤ m ≤ 100,000)개의 버스가 있다. 각 버스는 한 번 사용할 때 필요한 비용이 있다. 모든 도시의 쌍 (A, B)에 대해서 도시 A에서 B로 가는데 필요한 비용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의 출발 도시의 번호가 주어진다. 버스의 정보는 버스의 시작 도시 a, 도착 도시 b, 한 번 타는데 필요한 비용 c로 이루어져 있다. 시작 도시와 도착 도시가 같은 경우는 없다. 비용은 100,000.. 2023. 9. 14. (Python/🥇5)백준알고리즘 2229번 : 조 짜기 문제 바로가기 문제: 알고스팟 캠프에 N(1 ≤ N ≤ 1,00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열심히 공부를 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조별 수업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조별 수업의 목적은 잘 하는 학생들과 덜 잘 하는 학생들을 같은 조로 묶어서 서로 자극을 받으며 공부하도록 만들기 위함이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실력 차이가 많이 나도록 조를 편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조를 편성할 때 같은 조에 속하게 된 학생들의 나이 차이가 많이 날 경우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선생님들은 우선 학생들을 나이 순서대로 정렬한 다음에, 적당히 학생들을 나누는 방식으로 조를 짜기로 하였다. 조의 개수는 상관이 없다. 각각의 조가 잘 짜여진 정도는 그 조에 속해있는 가장 점수가 높은 학생.. 2023. 7. 24. (Python/🥇5)백준알고리즘 1759번: 암호 만들기 문제 바로가기 문제: 바로 어제 최백준 조교가 방 열쇠를 주머니에 넣은 채 깜빡하고 서울로 가 버리는 황당한 상황에 직면한 조교들은, 702호에 새로운 보안 시스템을 설치하기로 하였다. 이 보안 시스템은 열쇠가 아닌 암호로 동작하게 되어 있는 시스템이다. 암호는 서로 다른 L개의 알파벳 소문자들로 구성되며 최소 한 개의 모음(a, e, i, o, u)과 최소 두 개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정렬된 문자열을 선호하는 조교들의 성향으로 미루어 보아 암호를 이루는 알파벳이 암호에서 증가하는 순서로 배열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즉, abc는 가능성이 있는 암호이지만 bac는 그렇지 않다. 새 보안 시스템에서 조교들이 암호로 사용했을 법한 문자의 종류는 C가지가 있다고 한다. 이 알파벳을 .. 2023. 7. 18.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이란 모든 최단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다익스트라는 하나의 정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S.S.S.P - Single Source Shortest Path) 이었다면,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은 한 번 실행하여 모든 노드 간 최단 경로를 구할 수 있다 한붓그리기인 오일러서킷 과는 다르다 오일러 서킷은 그래프의 모든 간선을 정확히 한 번씩 지나서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경로를 말한다. 반드시 시작점으로 돌아와야하며, 한 번 지나간 선으로는 지나가지 않고 모든 선을 이어 그림을 완성하는 것이다. 나중에 오일러 서킷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플로이드 - 워셜 알고리즘은 O(N^3) 이기 때문에 N이 20 만 넘어가도 엄청나게 된다. 모든 노드 간의 최단거리를 구해.. 2023. 7. 17. (Python/🥇5)백준알고리즘 1456번: 거의 소수 문제 바로가기 문제: 어떤 수가 소수의 N제곱(N ≥ 2) 꼴일 때, 그 수를 거의 소수라고 한다. 두 정수 A와 B가 주어지면, A보다 크거나 같고, B보다 작거나 같은 거의 소수가 몇 개인지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왼쪽 범위 A와 오른쪽 범위 B가 공백 한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총 몇 개가 있는지 출력한다. import sys sys.stdin = open('/Users/song/Desktop/Python/Python/h.txt', 'r') A, B = map(int,sys.stdin.readline().split(" ")) board = [True] * (int(B ** 0.5) + 1) board[1] = False m = int(B **0.5) for i in ra.. 2023. 6. 2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