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머스/2단계

(Python/LV2) [PCCP 기출문제] 2번 / 석유 시추

by windy7271 2024. 1. 12.
728x90
반응형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250136

 

문제 설명: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세로길이가 n 가로길이가 m인 격자 모양의 땅 속에서 석유가 발견되었습니다. 석유는 여러 덩어리로 나누어 묻혀있습니다. 당신이 시추관을 수직으로 단 하나만 뚫을 수 있을 때, 가장 많은 석유를 뽑을 수 있는 시추관의 위치를 찾으려고 합니다. 시추관은 열 하나를 관통하는 형태여야 하며, 열과 열 사이에 시추관을 뚫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가로가 8, 세로가 5인 격자 모양의 땅 속에 위 그림처럼 석유가 발견되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상, 하, 좌, 우로 연결된 석유는 하나의 덩어리이며, 석유 덩어리의 크기는 덩어리에 포함된 칸의 수입니다. 그림에서 석유 덩어리의 크기는 왼쪽부터 8, 7, 2입니다.

시추관은 위 그림처럼 설치한 위치 아래로 끝까지 뻗어나갑니다. 만약 시추관이 석유 덩어리의 일부를 지나면 해당 덩어리에 속한 모든 석유를 뽑을 수 있습니다. 시추관이 뽑을 수 있는 석유량은 시추관이 지나는 석유 덩어리들의 크기를 모두 합한 값입니다. 시추관을 설치한 위치에 따라 뽑을 수 있는 석유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른쪽 그림처럼 7번 열에 시추관을 설치하면 크기가 7, 2인 덩어리의 석유를 얻어 뽑을 수 있는 석유량이 9로 가장 많습니다. 석유가 묻힌 땅과 석유 덩어리를 나타내는 2차원 정수 배열 l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시추관 하나를 설치해 뽑을 수 있는 가장 많은 석유량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풀이: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aultdict


def solution(land):
    res = 0
    zone = 2  # 구역넘버 시작
    count = []
    dic_count = defaultdict(int)
    move = [(0, 1), (0, -1), (1, 0), (-1, 0)]
    visited = [[False] * len(land[0]) for _ in range(len(land))]

    # 구역별로, 갯수
    def bfs(a, b, zone):
        Q = deque([(a, b)])
        visited[a][b] = True
        land[a][b] = zone
        count = 1
        while Q:
            x, y = Q.popleft()
            for dx, dy in move:
                nx = x + dx
                ny = y + dy
                if 0 <= nx < len(land) and 0 <= ny < len(land[0]) and not visited[nx][ny] and land[nx][ny] == 1:
                    visited[nx][ny] = True
                    land[nx][ny] = zone
                    Q.append((nx, ny))
                    count += 1
        return count

    for x in range(len(land)):
        for y in range(len(land[0])):
            if land[x][y] == 1 and visited[x][y] == False:
                dic_count[zone] = bfs(x, y, zone)
                zone += 1
    # x 좌표
    result = []
    for y in range(len(land[0])):
        result_temp =set()
        for x in range(len(land)):
            if land[x][y] != 0:
                result_temp.add(land[x][y])
        res = max(res,sum(dic_count[x] for x in result_temp))

    return res


print(solution([[0, 0, 0, 1, 1, 1, 0, 0], [0, 0, 0, 0, 1, 1, 0, 0], [1, 1, 0, 0, 0, 1, 1, 0], [1, 1, 1, 0, 0, 0, 0, 0],
                [1, 1, 1, 0, 0, 0, 1, 1]]))  # 9
# print(solution([[1, 0, 1, 0, 1, 1], [1, 0, 1, 0, 0, 0], [1, 0, 1, 0, 0, 1], [1, 0, 0, 1, 0, 0], [1, 0, 0, 1, 0, 1], [1, 0, 0, 0, 0, 0], [1, 1, 1, 1, 1, 1]])) #16

 

내 알고리즘은 석유가 있는곳을 구역을 나누고, 딕셔너리에 넣어서 관리한다

예를들어 첫번째 예시로 돌리면 

defaultdict(<class 'int'>, {2: 7, 3: 8, 4: 2})

land = 
[
[0, 0, 0, 2, 2, 2, 0, 0],
[0, 0, 0, 0, 2, 2, 0, 0],
[3, 3, 0, 0, 0, 2, 2, 0],
[3, 3, 3, 0, 0, 0, 0, 0],
[3, 3, 3, 0, 0, 0, 4, 4]
]

이렇게 나온다

 

구역번호는 2번부터 시작하고 

2번구역은 7개 3번구역은 8개 4번은2개 이런식으로 딕셔너리에 넣어준다 . 그러면

 

시추관을 석유를 꼽았을때 거기에 해당하는 zone을 찾아서 석유를 얼마나 뽑아 올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석유좌표들을 zone 좌표로 바꿔준다. 그래야 나중에 딕셔너리에서 찾아 올 수 있다.

 

이중포문을 돌리면서 y값만 바꿔주고. 거기에 들어간 zone을 담아 석유 총합을 구하면서 최댓값을 최신화 해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