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1 (Spring) IoC / DI IoC 기존 프로그램은 구현 객체가 스스로 필요한 구현 객체를 생성, 연결, 실행 하였다. 즉 구현 객체가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스스로 조종했다. 객체 생성을 컨테이너에게 위임해서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런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구현 객체가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닌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IoC) 이라고 한다. 특징 - 직접 객체 생성을 직접하지 않고 컨테이너에게 생성, 소멸 등을 관리 한다. - 개발자가 직접 컨트롤 할 수 없다. Spring 에서는 beab.xml / annotaition 을 이용하여 객체를 관리한다. 장점 - 의존성으로부터 격리되어 코드테스트에 용이하다 - 코드 확장하거나 변경할 때 영향을 최소화 한다. - 순환참조를 막을 수 있다.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정적인 클.. 2022. 6.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