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트리4

(Python/🥇1)백준알고리즘 12912번 : 트리 수정 문제 바로가기 문제:N개의 정점으로 이루어진 트리 T가 있다. 트리의 각 정점은 0번부터 N-1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트리에서 임의의 두 정점을 연결하는 단순 경로의 개수는 1개이다.두 정점사이의 거리는 두 정점을 연결하는 단순 경로상에 있는 간선의 가중치의 합이다.트리의 지름은 트리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 중에서 가장 긴 것이다.홍준이는 T에서 간선을 하나 제거하고, 간선을 하나 추가하려고 한다. 이때, 추가하는 간선의 가중치는 제거한 간선의 가중치와 같아야 하며, 간선을 추가한 이후에도 트리를 유지해야 한다.이때, 홍준이가 만들 수 있는 트리 중에서 지름이 가장 큰 것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첫째 줄에 트리 정점의 개수 N이 주어진다. (2 ≤ N ≤ 2,000) 둘째 줄부터 N-1개.. 2024. 10. 16.
(Python/🥇2)백준알고리즘 4933번 : 뉴턴의 사과 문제 바로가기 문제:두 바이너리 트리 A와 B는 다음과 같은 두 조건을 만족할 때 동등하다고 한다. 1. 두 트리가 비어있다. 또는, 2. 두 트리의 루트가 같다. 또: (a) A의 왼쪽 서브 트리가 B의 왼쪽 서브 트리와 동등하고, A의 오른쪽 서브 트리가 B의 오른쪽 서브 트리와 동등하다. 또는, (b) A의 왼쪽 서브 트리가 B의 오른쪽 서브 트리와 동등하고, A의 오른쪽 서브 트리가 B의 왼쪽 서브 트리와 동등하다. 예를 들어, 아래 왼쪽 3개 트리는 서로 동등하다. 하지만, 가장 오른쪽 트리와는 동등하지 않다.두 바이너리 트리가 주어졌을 때, 동등한지 아닌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입력: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두 줄로 이루어져 있다. 각 줄은 비.. 2024. 10. 6.
(Python/🥇5)백준알고리즘 1068번: 트리 문제 바로가기 문제: 트리에서 리프 노드란, 자식의 개수가 0인 노드를 말한다. 트리가 주어졌을 때, 노드 하나를 지울 것이다. 그 때, 남은 트리에서 리프 노드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노드를 지우면 그 노드와 노드의 모든 자손이 트리에서 제거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트리가 있다고 하자. 현재 리프 노드의 개수는 3개이다. (초록색 색칠된 노드) 이때, 1번을 지우면, 다음과 같이 변한다. 검정색으로 색칠된 노드가 트리에서 제거된 노드이다. 이제 리프 노드의 개수는 1개이다. 입력: 첫째 줄에 트리의 노드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에는 0번 노드부터 N-1번 노드까지, 각 노드의 부모가 주어진다. 만약 부모가 없다면 (루트) -1이 주어.. 2023. 8. 6.
(Python/🥇4)백준알고리즘 1967번: 트리의 지름 문제 바로가기 문제: 트리(tree)는 사이클이 없는 무방향 그래프이다. 트리에서는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도 둘 사이에 경로가 항상 하나만 존재하게 된다. 트리에서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서 양쪽으로 쫙 당길 때, 가장 길게 늘어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럴 때 트리의 모든 노드들은 이 두 노드를 지름의 끝 점으로 하는 원 안에 들어가게 된다. 이런 두 노드 사이의 경로의 길이를 트리의 지름이라고 한다. 정확히 정의하자면 트리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들 중에서 가장 긴 것의 길이를 말한다. 입력으로 루트가 있는 트리를 가중치가 있는 간선들로 줄 때, 트리의 지름을 구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아래와 같은 트리가 주어진다면 트리의 지름은 45가 된다. 트리의 노드는 1부터 n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2023. 8.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