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바로가기

문제:
크기가 N인 수열 A = A1, A2, ..., AN이 있다. 수열의 각 원소 Ai에 대해서 오등큰수 NGF(i)를 구하려고 한다. Ai가 수열 A에서 등장한 횟수를 F(Ai)라고 했을 때, Ai의 오등큰수는 오른쪽에 있으면서 수열 A에서 등장한 횟수가 F(Ai)보다 큰 수 중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수를 의미한다. 그러한 수가 없는 경우에 오등큰수는 -1이다.
예를 들어, A = [1, 1, 2, 3, 4, 2, 1]인 경우 F(1) = 3, F(2) = 2, F(3) = 1, F(4) = 1이다. A1의 오른쪽에 있으면서 등장한 횟수가 3보다 큰 수는 없기 때문에, NGF(1) = -1이다. A3의 경우에는 A7이 오른쪽에 있으면서 F(A3=2) < F(A7=1) 이기 때문에, NGF(3) = 1이다. NGF(4) = 2, NGF(5) = 2, NGF(6) = 1 이다.
입력:
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 (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에 수열 A의 원소 A1, A2, ..., AN (1 ≤ Ai ≤ 1,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총 N개의 수 NGF(1), NGF(2), ..., NGF(N)을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풀이:
import sys
sys.stdin = open('/Users/song/Desktop/Python/Python/h.txt', 'r')
N = int(input())
lst = list(map(int,sys.stdin.readline().split(" ")))
res = [-1] * N
dic = dict()
for i in lst:
if i not in dic:
dic[i] = 1
else:
dic[i] +=1
stk = []
for i in range(N):
# 스택이 존재하고, 스택 마지막에 있는것의 딕셔너리 갯수가, 현재 숫자의 딕셔너리 갯수보다 작으면
while stk and dic[lst[stk[-1]]] < dic[lst[i]]:
idx = stk.pop()
res[idx] = lst[i]
stk.append(i)
print(*res)
아이디어는 똑같다.
그치만 딕셔너리를 사용하고 조건이 다르다.
리스트에서 숫자들을 딕셔너리로 만들어두고
포문을 돌면서 지금 숫자의 밸류값보다 뒤에 나온 숫자들의 벨류값이 큰 경우가 있는경우 오등큰수라고 한다.
댓글